클라이언트가 HTTP 서버를 요청할 때 우리는 URL과 Method를 사용한다. URL은 앞서 말했듯이 서버의 도메인과 파일 디렉토리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Method는 요청 방석을 정해주고 크게 2가지 메소드를 사용하게 된다. 바로 GET과 POST이다. GET 1. GET 요청 처리- GET 요청이란? GET 요청은 서버로 부터 정보를 조회하는데 사용한다. 가장 큰 특징은 서버에 요청하는 Query String에 우리가 전달하려는 데이터가 담기게 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가져와 보고 싶은 경우에 GET을 사용하게 된다. - GET 요청의 특징서버 데이터 조회를 위해 사용Query String에 우리가 전달하려는 정보가 담기게 됨String 길이에 제한이 있으므로 많..
1. 서버 요청 테스트 - Postman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됩니다. 실제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 우린 물리적인 서버도 필요하고, 물리적 서버가 우리가 만든 서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API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에서 이와 같이 모든 API 구성을 만들기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서버 테스트 API를 활용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도구가 바로 Postman입니다. Postman 설치는 Chrome 웹스토어를 활용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Postman 설치 URL (Chrome Web Store)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postman/fhbjg..
전 후 대한민국 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 VS 헌법을 무시하고 권력을 쟁취한 독재 시대의 시발점 사사오입.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만한 말이다. 말 그래도 숫자 4는 내리고, 5는 올린다는 반올림의 법칙을 의미한다. 이 말이 유명해진 계기는 다름아닌 1공화국에서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때문이다. 6.25 전쟁 이후 이승만 정권이 국민들이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입법과 사법체계를 무너뜨리고 교모하게 자신의 권력을 이어간 사건이다. 대통령의 권력을 이용한 대국민 사기극이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처음으로 무너진 계기이자 대통령 독재 체제의 시발점이 된 사사오입 개헌에 대해 알아보자. 사건 경과 1948년 7월 24일, 초대 대통령 이승만 취임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